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골프칼럼] <2238> 손목만 사용하는 입스부터 없애야

골프 속에는 엄격히 동적(動的)과 정적(靜的)으로 양분되어 있다.   티박스에서 그린 주변의 어프로치까지 스윙하는 모든 행위는 동적이며 그린 위의 펏(putt)은 정적이다. 그리고 사람들의 시선, 그리고 ‘꼭’ 넣어야 한다는 심리적 현상이 압박해 미묘한 터치(touch)가 요구되는 짧은 펏의 경우 정신적으로 매우 절박해질 때도 있다.   호흡이 일정하지 않으면 자신의 손으로 호흡이 옮겨져 퍼터타면이 흔들리며 스위트 스폿(sweet spot)을 벗어나 짧은(short) 펏을 놓치는 경우도 허다하다.   특히 같은 거리의 앞사람이 먼저 펏을 성공시키면 자신의 차례에선 부담이 있게 마련이지만 부담의 성공과 극복, 그 문제는 전적으로 자신의 마음가짐과 정신력에 달려 있다.   따라서 치기도 전에 컵에 넣지 못하는 것인가 또는 휘는 것이 아니냐는 실패를 예상하면 그 펏은 십중팔구 실패로 돌아간다. 때로는 버디 찬스, 어려운 파를 성공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김칫국물부터 마시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암 닭이 알도 품기 전 병아리 수를 세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으로 펏의 성공 여부는 정신력 80%, 그린 읽기가 10%, 감각이 10%이다.   그린 읽기와 정신력이 무장되고 ‘꼭’ 넣어야겠다는 생각이 지나치면 손과 팔에 경직이 생겨 감각이 떨어져 손목만을 사용해 볼을 치는 입스(yips)현상도 일어난다.   펏에서 감각이란 수치상 10%지만 현실적으로는 펏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기도 하다. 펏에 기술적인 핵심은 거리감이 최우선, 그리고 볼을 치면서 손목이 꺾이거나 뒤튼다면 당연히 그 펏은 실패한 펏이 되고 만다.   골프에서 실수와 사고의 차이는 매우 크다. 메커니즘을 알고 한 것은 사고지만 이를 모르고 실행에 옮긴 것은 실수로 맹목적 추종을 의미한다.   볼을 치는 순간에는 기술보다 우직함을 앞세워야 하며 특히 손목 기교는 펏의 금기로, 펏 생명을 단축하는 행위와 다를 바 없다.   예를 들면 손목에 골절상을 당했을 때 정형외과에서 케스트(cast)를 한 듯한 느낌, 다시 말해 손목의 움직임을 최소화해야 한다.   특히 백스윙과 스트로크(stroke) 리듬이 일정해야 치는 순간 퍼터타면의 흔들림이 방지되며 팔로우스루가 유연해진다. 방법은 어깨 힘이 빠진 상태에서 양손과 팔 그리고 어깨를 한 묶음으로 시계추가 움직이듯 전, 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해야 한다.   따라서 오른쪽손목이 원래의 각도를 유지하고 손바닥의 중앙부위가 볼을 스트로크하며 컵을 향하는 느낌이 들어야 방향성을 보장받게 된다.   주의해야 할 것은 백스윙을 크게 하면 거리를 조절하려고 스트로크을 늦추게 되어 가감한 펏이 되어 컵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도 발생한다.   반대로 백스윙이 작으면 거리확보를 위해 볼을 치는 순간 강해져 예상치 못한 결과도 발생한다. 따라서 잘하는 펏의 기준은 백스윙만큼 팔로스루도 그 폭이 일정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손목 사용 손목 기교 성공 여부 심리적 현상

2023-04-20

미국도 "내집마련이 성공 여부의 척도"

 주택 소유의 중요성에 전 세대가 공감은 하는데 내 집 마련의 꿈은 멀다고 봤다.   아파트 전문사이트 ‘아파트먼트리스트닷컴(Apartmentlist.com)’이 최근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홈오너십이 성공의 열쇠(10점 만점에 10점)라고 답한 응답률이 세대별로 23~45%였다.     설문은 10점 척도로 1점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고 10점은 매우 중요함을 가리킨다.     세대별로 보면, 베이비부머 세대(1946~1964년)가 홈오너십과 성공을 동일시하는 경향(45%)이 다른 세대보다 훨씬 강했다.     1928년~1945년에 태어난 이른바 ‘침묵세대’와 X세대(1966년~80년)가 각각 43%와 45%로 그 뒤를 이었다. 밀레니얼세대(1981년~1966년)는 34%였다. 사회초년생인 1997년~2012년 태생인 Z세대는 23%로 가장 낮았다.   주택소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지만 내 집 장만은 쉽지 않음을 보여줬다. 내 집 마련의 어려움에 대한 질문에 관한 척도가 8점 이상으로 ‘매우 어렵다’를 의미하는 10점에 근접했다.     또, 향후 10년 내 내집 마련 전망에 대해서 어렵다고 답한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응답자의 10명 중 7명에 가까운  67%가 앞으로 10년 이내 내 집 장만은 쉽지 않을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반면, 더 쉬워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고작 14%에 불과했다.   침묵세대는 10명중 7명 이상인 75%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 중 50%는 조금 힘들 것이라고 했으며 매우 어렵다는 비율도 25%나 됐다. 그 다음은 베이비부머 세대(73%), X세대(68%), 밀레니얼세대(63%), Z세대(64%) 순이었다.     내 집 마련하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응답률인 가장 높은 세대는 X세대로 31%나 됐다.   〈그래프 참조〉   업체 측은 “지난 20년 동안 주택 시장이 붐을 이루다가 급랭했다가 다시 붐을 이루는 과정에서 소비자들의 홈오너십에 대한 태도 변화가 있지만, 전 세대가 내 집에 대한 가치는 여전히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주택 가격의 빠른 상승과 매물 부족으로 향후 홈오너십에 대한 비관론이 고개를 쳐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진성철 기자미국 내집마련 성공 여부 향후 홈오너십 주택 소유

2022-03-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